미국의 의사가 되기 위해서 또는 미국 의과 대학원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흔히들 대학교 학부의 GPA 성적이나 의과대학원 입학시험인 MCAT 시험의 점수만 좋으면 무조건 입학이 가능한 것으로 많은 다들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GPA 성적과 MCAT 성적 외 의과대학원에서 학생의 지원 원서를 보고 고려하는 3가지 중요한 요소가 있습니다.
의과대학원 입학 지원 3가지 요소는 어쩌면 GPA 성적이나 MCAT 성적은 좋은건 기본이고 이 3가지 중요한 요소를 더 체크하는 의과 대학원도 많이 있습니다.
몇몇 의과대학원은 입학의 사정관에 따라서 지원자 학생의 재능을 달리 평가하기 때문입니다.
우선 학생이 학부때 미국의대 지원에 있어 그 준비를 위한 research에 얼마나 열심히 적극적으로 참여를 하였나를 평가하는 의과대학원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research의 성과와 연구 결과를 평가하는 의과대학원이 있습니다.
이러한 research 준비를 위한 기반이 튼튼한 학부를 잘 선택하는 것도 의과대학원을 준비하기 위한 중요한 초석이 됩니다.
나머지 중요하게 참고하는 영역은 Shadow Program 참여 여부입니다.
의사의 어깨너머로 의사의 진료 활동과 수술 practice에 참여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Pre-med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는 모든 대학들이가지고 있는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많지 않은 대학들이 이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기에 학부의 Pre-med Program을 잘 선택하여 학부 재학 중 반듯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기회를 얻어 내어야 미국 의사가 되는 그 첫발을 내딛게 됩니다.
많은 학생들이 치대가 의대보다 들어가기 쉽다 혹은 의대의 차선책으로 치대를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듯 보입니다.
통계에 따르면 미국의 약 150개의 의과대학에 5만명 이상의 학생이 지원을 하여 최종적으로 2만명정도(약 45%)가 입학을 합니다.
미국치대의 경우 약 65개의 치과대학 (School of Dentistry)가 있으며 매년 약 1만 2000여명의 학생이 지원을하며 그 중 약 5000여명 (약 42%)이 입학을 합니다.
물론 치대 입학자들의 전체 평균 GPA가 의대입학자들의 평균 GPA보다 조금 낮은건 사실이지만 큰 차이가 없으며 두 프로페션의 입학에 대한 경쟁률은 오히려 치대가 더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전문분야를 지원하든 학점관리는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미국의 치대는 의대와 달리 학사학위를 필수조건으로 요구하지 않습니다.
치대에서 요구하는 필수과목 (Pre-Dentistry)과 함께 대학과정에서 90학점 이상을 이수하고 DAT(Dental Admission Test) 성적이 좋으면 대학 졸업을 하지 않고도 치대지원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대학졸업장 없이 치대를 지원자들의 합격률이 전체 합격률에 3%정도 입니다.
미국의대 입학을 위해 프리메드(Pre-Med) 과정을 이수하듯이 치대 (Dental School) 입학을 위해서는 프리덴탈(Pre-Dental)을 통하여 필수요구 과목들을 이수합니다.
많은 치대 지원자들이 생물학, 화학 등 과학 필드의 전공을 선택하며 3학년을 마치면 치대입학 지원이 시작되기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DAT 공부를 일찍부터 시작합니다.
치대를 준비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대학평균 GPA와 특정 Science 과목들의 성적 그리고 DAT시험 입니다.
1학년부터 학점관리에 신경을 써서 잘 만들어 가야하는 부분이며 특히 명문치대는 명문의대에 못지않는 성적을 요구한다는 점을 반드시 명심해야합니다.
화학 (Chemistry) 2학기 |
---|
General Chemistry I + LAB (CHEM1031 + CHEM1033) |
General Chemistry II + LAB (CHEM 1032 + CHEM1034) |
생화학 (Organic Chemistry) 2학기 |
---|
Organic Chemistry I + LAB (CHEM2201 + CHEM2203) |
Organic Chemistry II + LAB (CHEM2202 + CHEM2204) |
생물학 (Biology) 2학기 |
---|
Intro to Biology I (BIOL1111) |
Intro to Biology II (BIOL2112) |
물리학 (Physics) 2학기 |
---|
Physics I (PHYS2021) or (1061 or 1021) |
Physics II (PHYS2022) or (1062 or 1022) |